본문 바로가기

사주

천간(天干)

天干은 하늘의 음양오행을 자연의 법칙에 맞추어 설명하는것이 10天干이다.

 

天干의 분류

 

천간은 오행의 기운이 또 다시 음양으로 나뉘어 만들어진것 입니다

봄의 기운인 木을 음양으로 나누어서 초봄을 상징하는 목(木)을 갑 목(甲 木) 양으로, 늦봄을 을 목(乙 木)인 음으로 분류한것이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마찬가지로 화(火), 금(金), 수(水)도 계절적 의미로 음양을 구분하여, 

화(火) 를 병(丙), 정(丁), 금(金) 은 경(庚), 신(辛), 수(水) 도 임(壬), 계(癸)로 나누었다.

반면, 토(土)는 계절적인 기운보다는 봄, 여름의 양(陽)기운을 멈추고 가을, 겨울의 음(陰)기운을 열기 위한 연계활동으로 양활동의 절정을 

무 토(戊 土)로 정하고, 음운동의 시작은 기 토(己 土)로 분류하여 10천간이 만들어졌다.

 

<10 천간의 음양 도표>

 

 甲 乙  丙  丁  戊  己  庚  辛  壬  癸 
 갑 을  병  정  무  기  경  신  임  계 
 양 음  양  음  양  음  양  음  양  음 

 

 

 

천간과 의미

 

천간은 하늘의 기운으로 제 각각 특성이 다르며, 인간의 정신적인 기운으로 볼 수 있으며, 연극에 비유한다면 주인공이다.

 

甲(木)

하늘로 치솟는 성질을 가지며 밭 한가운데에 뿌린 씨앗이 땅 밑으로 뿌리를 내린다는 뜻을 형상화한 것으로 

초목의 최초의 생장을 의미하며 껍질을 뚫고 나오는 모습을 나타낸다. 첫 글자로 시작과,개척,기획하고 성장하는 운동성을 가지며 우두머리를 상징하고, 

하늘에서는 벼락, 천둥 놀라다,성내다,권위 등을 상징하기도 한다.

 

자연의 운동성

글 솜씨가 좋고 기억력이 뛰어나고 직관력,예지력,영감이 좋으며 혼자서 연구하는 것을 좋아한다. 

고집 또한 세고 자기만의 세상에 빠져 살아가는 경우가 많다. 히스테리, 불평불만, 신경질이 많다.

 

乙(木)

새싹들이 꾸물꾸물 자라는 형상, 초봄에 흙을 뚫고 올라와 지엽으로 갈라지며 뻗어 오르는 모습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유연성과 부드러움을 상징한다. 

하늘에서는 바람을 상징하는데 흔들리는 나뭇잎으로 보고 바람을 볼 수 있다는 뜻에서 바람으로 상징 한다고 한다.

 

자연의 운동성

갑이 정신적 의미와 최초의 초기 단계라면 을은 구체화 되는것이며 말로 이끌어내는 단ㄱ다. 활성화 되어 있는 상태다.

 

丙(火)

병은 가마솥을 엎어 놓은 형상으로 뜨겁다는 뜻을 지니며 글자 모양이 포크처럼 생겨서 음식을 즐기는 식도락가가 많다고 한다.

하늘에 떠 있는 태양을 상징한다.

 

자연의 운동성

본격적으로 발산의 기운이 시작되는 단계이며 정신적으로는 명랑함,쾌활함,활발함이며, 급한 성질을 가지고 있다. 밖으로 나아가고, 발산하려는 기운이 강해 

성질이 급하고 밝고 활발한 성격이며 활동력이 강하다.

 

丁(火)

丁은 陰火로 태양이 지고 난 후에 나타나므로 밤하늘에 별이라고 하며, 등촉화라고 하여 등잔 촛불, 

모닥불에 비유하기도 한다. 봄을 지나서 여름의 막바지에 다다른 시기로서 지상에서 싹튼 새싹의 기운이 하늘 높이 하늘까지 닿았다는 뜻을 상징한다.

 

자연의 운동성

병화는 빛이라면 정화는 열기다. 빛을 발산하는 힘이 강한 것이 병화라면, 정화는 빛을 비추려는 경향이 강하고 열이므로 튀어 나간다. 병화는 멀리 도달하려는 경향이 강한 빛이며, 정화는 공간만 조금 떨어져도 열의 속성은 떨어진다. 발산력은 약한 반면 순간적으로 발산하는 열의 온도가 굉장히 높다. 실제 정화의 기운이 훨신 더 더운기운의 열기다.

 

戊(土)

戊는 하늘에서 태양이 지고난 뒤에 나타나므로 저녁노을 또는 석양을 의미한다. 만물이 더욱 아름답고 무성하게 자란다는것을 뜻한다.

 

자연의 운동성

양 운동의 끝단인 상태, 발산의 끝 부분, 그러므모 자기가 표현 하고자 하는 것들을 숨기지 못한다. 행동력도 한다면 한다는 식이다. 구체적으로 실천력이 강하며 병,갑은 방향성이 강한 반면, 무토는 행동력에 강한 속성을 가지고 있다. 무르익은 것, 나이가 든것, 보수적인 것, 이루어진 것 등등 으로 해석한다.

 

己(土)

하늘에서는 구름이라고 한다. 무성하게 자란 만물이 자기 몸을 일으킨다는 뜻에서 만물이 완전하게 성숙하고 성립했다는 뜻을 의미한다. 즉 외부를 향해 발전하던 세력이 자신의 내부로 들어와 완벽하게 충실해지는 것을 말한다.

 

자연의 운동성

더 이상 자라지 못하고 발산의 힘을 서서히 잃은 상태다. 밖으로 뻗어나가려는 성향은 약해지며 안으로 자꾸 주워 담는 역할이 강하다. 주워 담는 경향으로 밖으로 드러내는 자기표현은 강하지 못하다. 그래도 항상 사람 수를 채우는 데는 있지만 어떤 행위에 가담하기 보다는 안으로 기르는 정서가 훨씬 강하여 양쪽 모두에게 무능하다는 소리를 듣는다.

 

庚(金)

하늘에서 달을 뜻하며 성숙해진 만물이 모습을 바꾼다는 뜻으로 만물의 기운이 팽창에서 수축으로 바뀌는 것으로 정기를 견고하게 잘 수렴하여 열매가 여문다는것을 의미한다. 이제까지의 과정과 질서를 결산하고 새로운 질서를 창조하는 개혁의 과정을 상징하기도 합니다.

 

자연의 운동성

더이상 성장하지 못하고 열매를 맺기 시작하고 잎이 마르기 시작한다. 잎과 열매를 구분하듯 시비와 판단하는 운동이 되며,결실,수렴을 통하여 주워 담는 운동을 하게 된다. 뚜렷한 음 운동을 통하여 가을에 내리는 서리다. 매달려 있는 것은 무조건 떨어뜨린다. 아직 辛金보다 음 운동이 더 발달된 상태이다.

 

辛(金)

辛은 하늘에서는 서리에 비유한다. 흑백논리가 분명하고 순진하며 한 우물만 파는경향이 있어 교재 폭이 좁은 경우가 많다. 새롭게 이루었다는 의미에서 결실을 맺은 열매가 익어 완전하게 새로워진다는 뜻으로써 성숙함이 사라지고 기운이 다시 잠복하여 다시 씨앗이 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만물의 새로운 탄생을 상징합니다

 

자연의 운동성 

음의 기운이 굉장히 강화 된 상태다. 속성은 자기 의지나 예리함, 의리, 판단의 기준이 매우 강하다. 辛金은 음 운동이 뚜렷하다, 이제 나의 할 일이 정해졌다, 

그러면서 확실하게 열매까지 떨어뜨린다. 낙엽도 떨어뜨리는 기운으로 판단과 시비 정밀성이나 세심함을 요구하는 일에 강하다. 

거울이며 신이 어디에 있던지 간에 힘든 바늘이다.

 

壬(水)

壬은 하늘에서 이슬이라고 한다. 모든 생물이 임이란 수액으로 잉태한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열매가 익어 씨앗이 되어 땅속에서 다시 새로운 생명을 잉태하는 것을 뜻한다.

 

자연의 운동성

초겨울 운동이 시작됨으로써 다 떨어진 것을 이제는 완전히 밑으로 가두기 시작한다. 양기가 밖으로 터져 나오지 않도록 가두기 시작한다. 

대체로 둥근 모양으로 된다. 열매와 씨앗이 떨어져 음기에 갇혀서 펴지 못하고 있는 상태이며, 씨앗을 품고 있는 모양과 같다. 임이 3개면 부자인자라고도 한다.

 

癸(水)

癸는 하늘에서 봄비에 비유한다.

땅속에 맡겨 길러지던 씨앗이 다시 나오고자 태어날 때를 기다리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처럼 甲,乙(木)은 壬,癸(水)의 수기를 받아 잉태하여 나오는 것이다. 한 해의 시작인 봄이 겨울 땅속에 잉태해 있다가 땅 밖으로 나와 비로소 한 해를 시작하는 이치를 상징하는 것이다.

 

자연의 운동성

밖에서 양기가 펼쳐지지 않도록 음 기운을 꼭 꼭 숨기는 작용을 한다. 음은 응축, 수렴의 속성을 가진다. 

음이 극단에이르니 음에서 양으로 전환하기 위한 조건이나 환경이 생긴다 얼음이다. 얼음이 팽창해 진다는 것은 양 운동이다. 

양운동으로 넘어 가기전의 집합체가 癸水다. 음 운동의 극단에 부피가 부풀려서 결국 양 운동이 발생된다, 양기가 태동하는 작용이다. 

직성이나 깨끗함의 석성을 가장 많이 가지고 있다.

 

 

'사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장간(地藏干)  (0) 2017.03.15
12간지와 띠별성격  (0) 2017.03.13
오행의 상생(相生), 상극(相剋)  (0) 2017.03.11
사주의 기초, 음양 오행(五行)  (0) 2017.03.09
사주의 기초, 음양(陰陽)  (0) 2017.03.09